네가 나를 사랑 하느냐?
(차성도 교수)
(요 21시 17분)"세 번째 가라사대 요한의 아들 시몬아 네가 나를 사랑 하느냐 하시니 주께서 세번째 네가 나를 사랑 하느냐 하시므로 베드로가 근심하여 가로되 주여 모든 것을 아시 오매 내가 주를 사랑하는 줄을 주께서 아시나이다 예수 께서 가라사대 내 양을 먹이라"
부활하신 예수님 께서 승천하시기 전에 베드로에게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질문을 하셨다.
베드로가 장차 감당해야 할 가장 중요한 사역을 부탁하시기 전에 먼저
"저희가 조반 먹은 후에 예수 께서 시몬 베드로에게 이르 시되 요한의 아들 시몬아 네가이 사람 들보다 나를 더 사랑 하느냐 하시니 가로되 주여 그러하 외다 내가 주를 사랑하는 줄 주께서 아시나이다 가라사대 내 어린 양을 먹이라 하시고"(요 21시 15분)처럼 주님을 사랑 하는지를 물으 셨다.
예수님은 베드로의 주님을 사랑한다는 고백을 들으신 후에 "내 어린 양을 먹이라"고 부탁 하셨다. 그리고 이와 같은 질문과 대답은 세 번이나 반복되었다.주님의 승천 이후에 베드로가 감당해야 할 가장 중요한 사역이 목양이기에 예수님께서는 승천하시기 전에 마지막으로 목양을 신신당부 하신다. 그런데 예수님께서는 왜 양들을 돌보는 목양 사역을 부탁하시기 전에 세 번이나 같은 질문을 하셨을까? 그 이유는 베드로가해야 할 가장 중요한 사역이 목양이며, 이 목양 사역의 가장 중요한 전제가 "네가 주님을 사랑 하느냐? "이기 때문이다.주님 께서 베드로에게 부탁하신 목양은 바로 교회의 가장 중요한 사역이며, 하나님 께서 맡기신 양들을 돌보는 목양의 유일한 자질은 바로 주님을 사랑하는가 이다. 그래서 주님은 "네가 얼마나 말씀의 능력이 있느냐? ","네가 얼마나 많은 업적을 이루었 느냐? ","네가 얼마나 좋은 학교를 나왔 느냐"고 묻지 않으시고,
"네가이 사람 들보다 나를 더 사랑 하느냐? ","네가 나를 사랑 하느냐? ","네가 나를 사랑 하느냐? "라고 반복하여 한 가지만 물으 셨다. 이는 아무리 많은 능력과 업적이 있더라도 주님을 사랑하지 않는 자에게는 목양의 자격이 없음을 의미하는 동시에 사람이주는 어떤 졸업장이나 임명장은 없더라도 주님을 사랑하는 자에게는 목양의 자격이있다는 것을 말한다.
즉,
교회의 가장 중요한 사역인 목양을 감당할 목양 자의 유일한 자격은 "네가 주님을 사랑 하느냐? "이다. (중략) 주님 께서이 세상에서 하나님 나라를 보여주 시며 사셨 듯이 우리들도 그리할 수있는 유일한 근거는 주님 께서 하나님만 사랑 하셨듯이 우리도 주님을 사랑하는 가에 달려있다. 그렇다면 주님을 사랑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예수님 께서 말씀하신바 "내가 아버지의 계명을 지켜 그의 사랑 안에 거하는 것 같이 너희도 내 계명을 지키면 내 사랑 안에 거하리라 내가 이것을 너희에게 이름은 내 기쁨이 너희 안에있어 너희 기쁨을 충만하게하려함이 니라"(요 15:10-11)와 같이
주님 께서 하나님의 말씀을 지켜
하나님의 사랑 안에 거한 것처럼
우리도 주님의 말씀을 지켜야
주님의 사랑 안에 거하게된다.
아울러 주님의 말씀에 순종하라고 권하시는 이유는 우리를 힘들게하려함이 아니라 우리에게도 주님의 기쁨이 넘치게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목양자가 반드시 명심해야 할 한 가지는 예수님 께서 베드로에게 목양을 부탁하신 후에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네게 이르 노니 젊어서는 네가 스스로 띠 띠고 원하는 곳으로 다녔거 니와 늙어서는 네 팔을 벌리 리니 남이 네게 띠 띠우고 원치 아니하는 곳으로 데려가 리라"(요 21시 18분)고 말씀 하셨듯이
목양자는 자기가 원치 않는 것도해야하고 바라지 않던 곳으로도 기꺼이 가야한다.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 주님 께서 베드로에게 부탁하신 목양자가 반드시 명심해야 할 한 가지를 보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의 사역에도 적용되어야 할 말씀으로 믿으며 작정합니다. 주님의 기쁘신 뜻과 동행하는 삶이 되게하여 주시 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 드립니다.아멘.
아래를 클릭하시면 소망 교회 베다니 찬양대의 은혜로운 찬양(거룩하시다)을 들으실 수 있습니다.http://www.somang.net/infobada/player/player01.asp?idx=45143:46061&idxc=C0000000015&langType=K
교회의 의사결정
(약 4:15)“너희가 도리어 말하기를 주의 뜻이면 우리가 살기도 하고 이것 저것을 하리라 할 것이거늘”
민주사회에서 의사결정의 원칙으로 받아 들어지고 있는 것은 다수결이다.
그래서 어떤 모임에서이건 의사결정은 다수결 원칙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회의 진행은 어떤 의견이 발의되면 “동의하십니까?”라고 묻고, “동의합니다.”라는 대답이 나오면 “재청하십니까?”라고 물어서 재청이 있으면, 이 안건에 대해 표결이나 거수로 “과반수가 찬성하셨으므로 결정합니다.”라고 다수결 원칙에 의해 결정한다.
이와 같은 회의진행은 교회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광경이다.
단지 일반 회의와 차이가 있다면 ‘은혜로 처리’와 ‘기도로 처리’라는 독특한 의사결정 방법이 더 있다는 것이다. 만일 교회에서 사회를 주로 보시는 당회장 목사님께서 “이번 안건은 은혜로 처리합시다.” 또는 “내가 기도해보았더니...”라고 말씀하시면, 이는 동의, 재청, 표결 등의 구차한 절차 없이 당회장의 제안대로 결정하자는 무언의 압력이기도 하다.
이는 ‘은혜’나 ‘기도’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아니라 이것들을 빌미로 ‘하나님의 뜻’이 너무도 남용된다는 것이다. 과연 교회가 다수결 원칙 또는 독단에 의해 의사 결정하는 것이 성경적으로 옳은가?하나님께서는 모세를 통하여 이스라엘 백성이 지켜야 할 율례를 주시면서 “다수를 따라 악을 행하지 말며 송사에 다수를 따라 부정당한 증거를 하지 말며”(출 23:2)라고 말씀하셨다. 즉, 다수가 동의하거나 결정했더라도 옳지 않은 것이라면 따라가지 말아야 한다.
옳은 것을 따라간다는 것은 “하나님 앞에서 너희 말 듣는 것이 하나님 말씀 듣는 것보다 옳은가 판단하라”(행 4:19b)처럼 사람의 의견에 따라 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 말씀을 따르는 것이다.
예수님께서도 “좁은 문으로 들어가라 멸망으로 인도하는 문은 크고 그 길이 넓어 그리로 들어가는 자가 많고”(마 7:13)라고 말씀하시면서 많은 사람들이 가거나 선택하는 문을 조심하라고 경고하셨다.성경의 정의대로 ‘교회가 그리스도의 몸이고, 그리스도는 교회의 머리’라고 고백한다면 교회의 의사결정은 당연히 지체들의 다수의견이나 어떤 한 지체의 단독의견이 아니라 교회의 머리이신 예수님의 뜻에 의해 정해져야만 한다.
그래서 더 이상 교회에서는 단지 “과반수가 찬성하였으므로...”, “당회가 결정하였으므로...”, “은혜로 결정하기를...”, 또는 “내가 기도해보았더니...”에 의해서 의사결정을 하지 말아야 한다. 혹, 총회나 당회에서 다수결 원칙을 따라 결의된 사항이라도 “너희가 도리어 말하기를 주의 뜻이면 우리가 살기도 하고 이것 저것을 하리라 할 것이거늘”(약 4:15)의 말씀을 따라 최종 결정은 “이 사항은 하나님의 말씀에 의거한 주의 뜻이기에 결정합니다!”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제안된 의견이 하나님의 말씀에 근거하고 있으며, 모든 지체들이 기도하면서 주님의 뜻으로 한 마음을 주 셨는가에 의해 확인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교회는 다수결 원칙이
지켜져야 할 민주국가가 아니라,
하나님께서 직접 통치하시는 신정국가이기 때문이다.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 저희 소망교회의 성도들이 드리는 간절한 기도를 들어 주시옵소서. 당회원모두가 하나님의 말씀에 의거한 주님의 뜻이 무엇인지를 한 마음으로 알게 하사 당회에서 처리되어야 할 현안들이 교회의 머리 되시는 예수님의 뜻대로 모두 결정되게 하여 주시옵소서. 저희 교회의 교역자와 영적 지도자들 모두가 믿음과 삶으로 주님께 영광 드리며 성도들의 힘이 되게 하여 주시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 드립니다. 아멘.
아래를 클릭하시면 소망교회 베다니찬양대의 은혜로운 찬양(주의 영광 위해 살리라)을 들으실 수 있습니다.
http://www.somang.net/infobada/player/player01.asp?idx=45044:45963&idxc=C0000000015&langType=K
86 87 88 89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