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 선교
▶ 단기 선교(Short-term Mission)의 종류
1)학습선교여행(Mission Study Trip)
2)선교정탐여행(Mission Expedition Trip)-갈렙프로젝트(미)
3)단기봉사여행(Talent Mission Trip)
4)단기선교(Shot-term Mission)
▶ 단기 선교의 장점과 문제점
|
장 점
|
문 제 점
|
참가자
|
삶의 현장에 대한 경험
선교적 삶 맛보기
다른 나라의 교회 경험
영적 성장과 성숙
사역적 경험
전임 선교사의 가능성
성육신적 삶을 통한 배움
|
잘못된 동기
선교사에 대한 왜곡된 경험
현지 교회에 대한 나쁜 경험
엉성한 프로그램으로 낭비
준비 부족
참가자들 사이의 갈등
장기 선교에 대한 부정적 인상
문화적 패권주의
|
선교단체
|
선교사 동원
인력적 공백 보충
좋은 대외적 관계
새로운 후원 재원
잠재적 평생 동역자 확보
|
사후양육의 실패
일회성 사역에 대한 과도한 기대
나쁜 평판을 얻음
후원 확보 실패
참가자들의 필요를 채우지 못함
|
선교지
교회와
선교사
|
사역이 이뤄짐
전도 폭발
사역을 나눠짐
파송 교회와의 관계형성
잠재적 평생 동역자 확보
|
선교팀을 돕느라고 시간 낭비
참가자의 문화적 실수로 곤란에 직면
시간과 자원의 낭비
현지인이 왜곡된 생각을 교회로 가져감
장기선교사에 대한 부정적 인상
|
▶고려해야 할 것들
1. 단기선교의 목적
-삶의 변화를 경험하는 장 또는 기회가 된다.
-대학이나 사회 그리고 교회에서 타문화사역의 증인으로 성장한다.
-세계를 보는 관점이 변하여 자기의 미래를 새롭게 개척한다.
-교회내의 선교사역의 지도자, 선교사역 후원자(기도, 물질)로 성장한다.
-선교여행의 경우 노방전도나 개인전도보다 현지문화를 살피고 배우고 경험하는데 80% 이상의 비중을 둔다.
-장기선교사로 헌신한다(10%미만)
2. 훈련이 가장 중요함
-훈련되지 않은 사람은 선교지에서 짐이 될 수도 있고 선교사와 선교사역에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줄 수도 있다.
-선교에 대한 성경적 기초
-선교학, 선교관련 책자 읽기
-사역할 지역의 문화, 언어에 대한 훈련
-재정모금
-팀웍(하나됨)
-기도후원자 발굴
-선교사묘지 방문
3. 사후 양육
-사후양육이 선교여행을 인생의 전환점을 경험하게 할 수도 있고 그냥 일회성 여행에 그치게 할 수도 있다.
-단기선교여행을 통해서 보고 배우고 경험한 것 때문에 자신의 삶에 어떤 변화가 있는가? 라는 질문을 하자.
-현지에서 일기 형식으로 기록
-돌아오는 비행기에서 경험한 것, 깨달은 것 정리하게
-삶의 변화 나누기
-자신의 미래에 대한 하나님의 인도하심 구하기
-보고회
-현장에서 알게된 사람을 위한 지속적인 기도
-차기 선교사역 준비하기
-선교관련 프로그램 참가하기
-선교도서 읽기, 선교단체 방문 등
※ 단기 선교를 다녀오면
-선교가 남의 이야기가 아니라 나의 이야기 우리교회의 이야기가 된다.
-기도의 힘, 물질과 시간의 헌신, 팀웍으로 하나됨 등으로 교회의 내부적 기반이 강해진다.
-선교경험자가 생기는 것은 교회의 귀중한 자산이다 - 선교 유경험자가 발산하는 영향력으로 인해 선교에 지속적인 열심을 가질 수 있다.
-‘우리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증대되어 교회는 영적으로 생동감을 가지게 된다.
-교회의 본질적 사명인 선교에 에너지를 쏟으므로 교회내의 다툼이나 내분이 사라진다.
-젊은이에게 제시된 비전으로 교회의 미래와 교회 안의 젊은이들의 미래가 밝아진다.
※ 단기선교의 전략적 활용
전도팀, 의료팀, 건축팀 - 협동작전, 단시일내에 한지역 복음화-현지교회에 일임하고 돌아옴
※ 현지에서 뿌리내리는 선교사 필요
농업전문가, 간호원, 의사, 기술자(자동차 운전사, 영사기사, 비디오 기술자, 요리사, 컴퓨터기사, 유아교육, 건축기술 등)
※ 단기선교 확장
-1단계 : 대만, 일본,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2단계 : 인도, 방글라데쉬, 아프리카, 중남미, 유럽
-중국과 중앙아시아 : 선교사로 들어갈 수 없으나 모슬렘아나 이단은 적극 활동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