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소망교회 카페 블로그 메일 SMS 문자보내기
검색
십자가의 종류와 유래^^ 댓글[0]
기도방 (2011-04-13 오전 6:33:36) http://blog.somang.net/1234/6695

십자가의 종류와 그 유래




Anchor Cross
그리스도 안에서 그리스도인들의 희망을 상징한다
(히브리서 6:17-20 참고).
또한 전설에 의하면
Trajan 황제에 의해 닻에 묶여 바다에 던져진
St. Clement, Bishop of Rome을 상징하기도 한다.



Alpha and Omega Cross

라틴 십자가의 일종으로
알파와 오메가가 결합된 모양이며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죄를 위해 십자가에서
죽으신 것을 생각나게 하며,
그리스도께서 영원한 영광 중에
지금도 세상을 다스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Season: Trinity, also Ascension Sunday(예수 승천주일)
and Christ the King Sunday


Baptismal Cross

이 Greek cross는 그리스도의 그리스어 첫 글짜인
chi에 포개져 있는 모양을 하였다.

8개의 팔을 가지고 있는 바 8은 부활의 상징이다.
이 십자가는 보통 세례의 십자가로서 쓰이고 있다.



Budded(꽃봉오리) Cross
이 십자가는 널리 삼위일체 십자가로 불려진다.
이 이유는 3개의 꽃잎을 봉우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Season: Trinity



Byzantine Cross

이 비잔틴 십자가는 일반적으로
the Greek Orthodox Church에 의해 쓰여진다.




Calvary, Graded Cross

이 3개의 계단에 서 잇는 십자가는 갈보리 언덕을 상기시키고
또한 믿음, 소망과 사랑을 상기시킨다. (고전 12:13)



Celtic, Irish Cross

이 십자가는 가장 널리 쓰여진 고대의 십자가이다.
영국이나 아일랜드의 켈트족 크리스챤들에 의해 사용 되어졌다.
Season: All


Coquerors, Victors Cross

이 Greek cross는 Jesus와 Christ의 그리스 글자를 보충하였고,
아래에는 그리스어의 Conqueror정복자 (NIKA)를 넣었다.
짧은 bar는 글자를 넣기 위해 짧게 표현하였다.
Season: All, esp. Easter, Ascension Sunday, Christ the King Sunday


Crosslet(작은 십자가) Cross

이 십자가는 4개의 작은 십자가에 의해 만들어졌다.
이것은 세상의 4개의 모퉁이에 복음이 전파되는 것을 상징한다.
안쪽의 4개의 부가적인 십자가는 장식적인 요소이다.
Season: Trinity 


Eastern Cross 


이 십자가는 러시아정교회에서 주로 쓰여진다.
위의 bar는 십자가 명패 "INRI"(유대인의 왕 예수) 를 상징하고,
비스듬한 bar의 의미는 이렇다.
전설에 의하면 예수께서 십자가에 달리셨을 때
지진이 일어났고  그때에 그 바를 잃어버렸다는 설과
예수님의 다리가 약간 짝짜기였기에 예수의 다리를 받치고 있던 bar가
약간 비스듬했었다는 설이 있다.
또 다른 설은(아마 가장 정확한 의미로서)
St. Andrews Cross의 형상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로
St. Andrew는 러시아에 기독교 신앙을 전파한 사람으로 믿어지고 있다.


Embattled(전투 태세를 갖춘) Cross

이 heraldic cross는 요새와 성곽을 느끼게 한다.
교회는 전쟁 중에 있음을 상징한다.
주님에 의해 전쟁의 승리를 얻게 되리라는 것을 상징한다. 


Fleurie Cross

이 백합 형상의 4개의 Cap은 삼위일체를 상징한다.
Season: Easter, Trinity 



Greek Cross

이 고전적 십자가는 같은 길이의 bar로 되어 있다.
Season: All 



Ionic Cross

이 형상은 6세기 Lona 섬의 St. Columba 에 의해서 택하여진 십자가 이다.
Season: All 



Jerusalem, Crusaders Fivefold Cross

이 복잡한 형태의 십자가는  구약의 율법을 상징하는
4개의 T자 형태로 이루어진 중앙의 십자가로 구성되었고,
4개의 작은 그리스 십자가는 주님의 복음이 성취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 그리스도의 복음이 4개의 세상 끝(만방)에 전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예수님이 십자가상에서  상처 입으신 신체의 다섯 군데


(양손, 양발, 옆구리)를 상징하는 것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The Latin Kingdom of Jerusalem의
첫 번째 지배자인 the coat-of-arms Godfrey of Bouillon에 의해 채택된
십자군의 문장이기도 하다.
Season: Pentecost, Trinity 


Latin Cross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이 십자가는 세상의 죄를 사하기 위해
속죄 제물이 되신 예수님을 상징한다.
(비어 있는) 십자가는 예수님의 부활과 영생의 희망을 상징한다.
Season: All 


Latin with proclamation(명패) Cross

십자가 위의 문자는
빌라도가 명령하여 십자가에 달았던 명패의 문구 약자이다. (INRI)
"Iesus Nazarenus Rex Iudaeorum"
- 유대인의 왕 나사렛 사람 예수.
요한 1919-20 [표준새번역개정판]  빌라도는 또한 명패도 써서, 십자가에 붙였다.
그 명패에는 유대인의 왕 나사렛 사람 예수 라고 썼다.
예수께서 십자가에 달리신 곳은 도성에서 가까우므로,
많은 유대 사람이 이 명패를 읽었다.
그것은, 히브리 말과 로마 말과 그리스 말로 적혀 있었다.
Season: 고난주간 특히 성금요일 


Fleur-de-lis(백합문장) Cross   
 마치 백합꽃 이나 붓꽃 봉우리 모양 같은
이 삼위일체와 부활을 상징한다.
Season: Easter, Trinity 


Maltese Cross

8개의 point는 부활을 상징한다. 또한 산상수훈의 8복을 상징한다.
터키에 의해 Rhodes에서 the island of Malta로 몰려나간
the Knights of St. John의 문장으로 쓰여졌다.
Malta섬은 바울이 난파당한 곳이기도 하다. 


Patee Cross

이 십자가는 the Maltese Cross와 같은 의미로 쓰인다.



Natal(출생) Cross

별 형상을 담은 이 십자가는
예수님 탄생과 그의 탄생의 목적을 예고해준 별을 상징한다.
Season: Advent, Epiphany 


Papal(교황) Cross

이 십자가는 교황청의 공식 문장이다.
세 개의 bar는  갈보리의 세 개의 십자가를 상징하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교황의 세 왕국(부분- 교회, 세상, 하느님 나라)의 권위를 상징한다. 


Passion Cross

The pointed ends of this Latin cross 는 십자가의 고난을 상징한다.
Season: Lent, esp. Holy Week 



Patriarchal(대주교) Cross

이 십자가는 대주교 십자가이다. 위의 bar는 십자가 명패이다. 




Pommee Cross

사과 모양을 닮은 이 십자가의 둥근 부분은 기독교인의 열매를 뜻한다.
또한 고대의 목자의 지팡이와 같은 모양인바 그것은
권위의 상징이기도 하다. 또한 감독의 십자가로도 쓰여졌다.



Ankh Cross

The ankh, or ansate cross는
고대 이집트 상형 문자를 이용한 것으로 생명과 부활을 상징한다.
또한 영생을 상징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St. Andrews Cross

전설에 의하면  St. Andrew가 박해받을 때
예수와 같은 십자가형은 받을 수 없고
다른 형태의 십자가형을 청했다고 한다. 이것은 겸손과 고난을 상징한다. 



Tau(T) Cross

그리스 문자 T에서 고안된 이 십자가는 가장 단순한 모양이다.
유월절에 양의 피를 바른 것을 상징하기도 한다.
또한 모세가 놋뱀을 매달은 막대기를 상징하기도 한다.
Season: Advent 


Triumphant(승리를 얻은)

Of Victory, and Orb(구) Cross
이 십자가는 세상 끝날에 그리스도께서 최후 승리를 하시고
이 땅을 통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영광의 통치자이신 예수의 왕권(홀)을 표현하는 것이기도 하다.

Season: Christ the King Sunday
 
 
 
 
 
 

부활체(復活体)에 대한 이해

 



성경에서 부활하신 예수님의 몸은 생존 시의 몸의 특성과 같은 점(연속성)이 있으면서도 다른 점(불연속성)이 있었다. 예수님은 운명하기 이전의 모습 그대로 부활을 하셨다. 그리고 바로 그 몸으로 제자들과 이야기를 하시고, 음식을 잡수셨다. 제자들은 그 모습을 그들의 눈과 손으로 분명하게 확인했다.


그러나 부활하신 예수님의 변화된 모습에 무덤을 찾았던 여인들이나, 엠마오로 가던 제자들은 예수님을 몰라보기까지 했다. 닫힌 방안에 문을 열지 않고 들어갈 수 있으며, 동행하던 일행 중에서 갑자기 사라질 수도 있었다.


부활하신 예수님의 모습을 통해서 부활체(부활한 몸)가 어떠한 것인지에 대한 암시를 받을 수 있다.


 

1. 예수님의 부활체의 연속성(連續性)

 

1) 사람이 눈으로 볼 수 있었다(요21:1)
2) 말씀을 하실 수 있었다(마28:9;요20:16,19)
3) 사람들은 그 말씀을 알아들을 수 있었다(마28:9;요20:16).
4) 막달라 마리아가 예수님을 붙잡고 메어 달리려는 것은 영이 아니고 실체이기 때문이다(요20:17)
5) 여자들이 나아가 그 발을 붙잡고 경배한 것도 실체이기 때문이다(마28:9)
6) 살과 뼈가 있는 몸이었다(눅24:39,40)
7) 몸을 만질 수 있었으며, 또 그렇게 하도록 권유받았다(마28:19,눅24:39,요20:1727).
8) 손과 옆구리의 상처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었다(눅24:40)
9) 음식을 먹을 수 있었다(눅24:30,42,43).

 

2. 예수님의 부활체의 불연속성(不連續性)


1) 다른 모양으로 나타나셨다(막16:12).
2) 막달라 마리아는 보고도 예수인줄 알지 못하였다(요20:14,15)
3) 보이는 예수님을 영으로 생각할 정도였다(눅24:37)
4) 말의 억양이 생존 시와 달라 알아들을 수 없었다(요20:15).
5) 함께 이야기를 나누면서도 예수님을 알아보지 못했습니다(눅24:16).
6) 예수님을 가까이서 보면서도 도마는 의심하였다(요20:25-27).
7) 닫힌 방안에 문을 열지 않고 들어갈 수 있었다(요20:19).
8) 동행하던 일행 중에서 갑자기 사라질 수도 있었다(눅24:31).

 

3. 예수님의 부활체의 특성(特性)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체는 죽음 이전의 인자의 육체와 똑같은 본질의 육체로 부활하셨다. 다만 육체의 속성인 연약함을 극복하신 것이다


1) 시간과 공간제한을 받지 않고 이동할 수 있는 몸이다(마28:9;눅24:31,36;요20:19,26)


  (1) 바울과 아나니아에게 나타나셨다(행9:3-7,10-19)
  (2) 열한 제자의 무리 중에 갑자기 나타날 수 있었다(눅24:36)
  (3) 닫힌 방안에 문을 열지 않고 들어갈 수 있었다(요20:19).
  (4) 동행하던 일행 중에서 갑자기 사라질 수 있었다(눅24:31).
  (5) 하늘에 올라 갈 수 있었다(막16:19;눅24:51;행1:9-11)


2) 썩지 않는 신령한 몸이다(행1:11;고전15:35,42)


3) 하늘에 속한 자의 형상을 입은 몸이다(고전15:49).


  (1) 얼굴은 해가 힘있게 비취는 것 같았다(계1:16)
  (2) 눈은 불꽃같았다(계1:14).
  (3) 음성은 많은 물소리 같았다(계1:15).
  (4) 발은 풀무에 단련한 주석 같았다(계1:15).


4) 영광스러운 몸이다(요20:5-7).

 

4. 성도의 부활체의 특성(特性)

    성경의 여러 부분에서도 우리가 변화될 것을 말하고 있다.(고전15:36-49;빌3:21;요일3:2).


1) 주님의 몸과 같게 된다(고전15:20,49;요일3:2)
2) 외모는 지금의 몸과 동일하여 알아볼 수 있다(마16:19-23).
3) 상태는 신령한 몸이 된다(고전15:44)
  (1) 썩지 아니할 몸이 된다(고전15:42,52-54)
  (2) 강한 몸이 된다(고전15:43)
  (3) 사망이 없고 아픈 것이 없게 된다(계21:4).
4) 영광스러운 몸이 된다(고전15:43,3:18;빌3:21)
5) 장가도 아니가고 시집도 아니가고 하늘에 있는 천사들과 같게 된다(마22:30;막12:25;눅20:36)

 

♥ 나가며


부활하신 예수님은 주님께서 원하시는 대로 육체적 삶의 제한에 순응하시기도 하고, 하지 않을 수도 있으신 것으로 나타납니다. 이것이 주님의 전능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입니다. 그리고 하나님 우편이란 위치적 개념이 아니라 주권적 개념입니다.


하나님 우편을 위치의 개념으로 인식하는 것은 삼위일체 하나님을 양태론으로 설명하는 것이 됩니다.

 

* 참고자료

 

1. 하나님의 편재


[웨민대요리문답 문7] <하나님은 어떠한 분인가?>라는 질문에 <하나님은 영이시니....편재하심과 전능하심과 전지하심과 ....무한한 분이시다>로 답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편재(偏在)>는 하나님께서 어디서나 함께 계신다는 본질을 의미합니다. 즉 하나님은 시공에 제한을 받지 않으시며 그의 창조성과 능력은 모든 것에 작용한다는 것입니다(렘23:24).

 

2. 예수님의 신성


[하이델베르그요리문답 문48] 의 <승귀하신 그리스도의 양성(인성과 신성)>문제의 답에 <신성은 제한없이 어디에나 임재하기 때문에(렘23:24;행7;49), 그것이 취한 바 인성의 관계를 초월하여 있으며(골2:9;요3:13;11:15;마28;6), 동시에 언제든지 그 인성에 임재하시며 그 인성과 결합되어 있다.>라고 하였습니다.이것은 승귀하신 예수님이 인성을 가지셨기에 시공간의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니라 인성의 관계를 초월한 신성으로 인하여 시공간의 제한을 받고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3. 속성의 교류


holyjoy님의 견해를 옮깁니다.루터파는 divine nature와 human nature 사이에 주고받는 속성교류를 이야기하고 있는 반면, 개혁파는, person과 nature간의 속성교류를 주장합니다. 그래서 human nature로서의 자라고 시험받고 죽으심에 대한 속성을 person에 적용하는 것을 간혹 인정하기는 하지만, 엄밀한 의미에서는 부정합니다. 그리스도의 person은 human person이 아니고, 바로 divine person이기 때문입니다. 저의 주장은, 예수님의 신성과 인성이 분리됨을 결코 인정하지 않고, 동시에 신성과 인성을 가지신 분이시되, 그렇다고 해서 <살과 뼈를 가지신 인성으로 우리 안에 계신 것이 아니라 바로 신성으로 우리 안에 계신다는 것>입니다.

 

4. 하나님의 우편


예수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의 우편에 앉으셨다(엡1:20-23;벧전3:22;마26:64;시110:1)는 것은 우편이라는 위치적 장소가 아니라 우주의 지배자시며(빌2:9,10;골1:18;벧전3:22. J.Calvin, W.Hendriksen, F.W.Beare), 대제사장이시며(롬8:34,35,38,39), 심판자로서의 영광과 존엄을 의미하는 것이라고(고후5:10;딤후4:1,8) 생각합니다. 

 

이 포스트를...

처음페이지  이전페이지  66  67  68  69  70  다음페이지  마지막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