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소망교회 카페 블로그 메일 SMS 문자보내기
검색
산이 우리게 주는 아름다움을
함께 즐기고 감상하며 하나님께
감사 하고저 합니다 .
카테고리
전체보기 (1028)
산행 (395)
도봉산 (16)
북한산 (46)
지리산 (2)
설악산 (7)
기타산행 (37)
좋은글 (300)
산행정보 (53)
산행일정 (58)
기타 (114)
0
3569
이상한 나무들을 보며~~~ 댓글[0]
기타 (2011-05-03 오전 10:01:21) http://blog.somang.net/jlmbw9090/6782

숲속을 걷다 보면 사람 만큼이나 헤아릴 수 없는 수 많은 종류의 나무들을 볼 수 있다.
하늘을 찌를 듯 숙쑥 곧게 자란 잘 생긴 나무들 사이에는 외틀어지고 못생긴 나무들이
있어 눈길을 끈다.

사람 가운데에도 잘 생긴 사람 ,못 생긴 사람이 있는가 하면 부자와 가난뱅이도 있다.
요즘 세상 돌아가는 판속을 보면 잘 생기고 인격이 높은 사람보다는 돈 많은 부자가
세상을 흔들고 있다. 그런 부자들 가운데에도 현인과 기인이 있다고 한다.

지난주 한국을 방문한 세계의 부자 워런 버핏을 현인이라고 칭찬한다.
버핏은 왜 현인인가? 그는 한국에서 환대를 받았다.

청와대에서 환대받은 버핏은 현인이었을까?
그냥 탁월한 투자가였을까?

다음 이야기를 읽으시며 이들 기이한 나무들에 숨겨진 의미도 찾아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버핏은 왜 賢人인가

 

- 돈으로는 행복을 살 수 없다 -

 



 

파나소닉 창립자 마쓰시다 고노스케는 잘 알려져 있다시피 찢어지게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났다.

 

당연히 정규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 했으며 몸까지 허약했다. 하지만 그는 환경을 탓하지 않고

 

 이것을 극복해 경영의 신이라 불리며 존경받는 최고의 기업인이 됐다. 말년에 그는 못 배우고

 

 병약하고 가난한 집에서 태어난 것이 가장 큰 행운이었다고 회고했다.

 



 



 



 



 

이와는 반대로 부잣집에서 태어나 불우하게 생을 마감하는 사람들도 많다.

 

최근 런던에서 54세를 일기로 숨진 존 풀 게티 3세가 그랬다. 인류사에서 최초로

 

개인자산 10억 달러를 넘어선 부호집안에서 태어났지만 그의 개인적인 삶은 불행의 연속이었다.

 



 



 



 

할아버지 게티는 자녀들에게 도무지 사랑이라곤 베풀 줄 모르는 이상 성격자였다.

 

손자인 게티 3세를 납치한 마피아가 220만 달러의 몸값을 요구하자 이를 거부하다 아들에게 연리 4%로

 

꿔주는 조건으로 마지못해 돈을 내 준 비정한 할아버지였다. 한마디로 돈 빼고는 아무 것도 없는 집안이었다.

 

언론들은 그의 죽음을 전하면서 "돈으로는 행복을 살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 삶이었다고 보도했다.

 



 



 



 

마치 유행가 제목 같은 이 교훈의 중요성을 일찌감치 깨닫고 자녀교육에 철저히 적용한 대표적인 부자는

 

지난주 한국을 방문한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이다. 버핏은 어린 자녀들에게 어릴 때부터

 

"돈으로는 행복을 살 수 없다."는 말을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려줬다. 재산을 남기지 않겠다고

 

분명히 하면서 아이들이 아버지 돈에 기대지 않고 자기들만의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이끌었다.

 



 



 



 

그 결과 버핏의 세 자녀는 아버지의 후광에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잘 살아가고 있다.

 

교육이 얼마나 철저했던지 그의 딸과 사귀던 월스트릿 변호사는 결혼 직전까지 자기 여자 친구의

 

아버지가 그처럼 돈 많고 유명한 버핏이라는 사실을 눈치 채지 못했을 정도다. 부모의 돈 없이도

 

스스로 행복할 수 있을 때 비로소 그 감정은 흔들림이 없다는 것이 버핏의 소신이었다.

 



 



 



 

부모 재산에 대한 자녀들의 관심은 어느 문화권이나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런 가운데서도

 

한국 자녀들의 관심은 좀 유별나다. 얼마전 나온 조사를 보니 OECD국가들 가운데 한국만이

 

유일하게 부모 수입이 상승할수록 자녀들의 방문 빈도가 높아지는 국가로 나타났다.

 

 다른 나라들은 오히려 반비례했다. 오죽하면 "재산 미리 주면 굶어 죽고, 반만 주면 시달려 죽고,

 

안주면 맞아 죽는다"는 섬뜩한 우스개까지 나올까 싶다.

 



 



 



 

 가난과 풍요 자체가 아니라 거기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느냐에 따라 그것은 축복이 되기도 하고

 

불행의 씨앗이 되기도 한다. 사람을 살아가게 하고 행복감을 느끼게 하는 것은 소유가 아니라 의미다.

 

버핏은 자녀들에게 큰 재산을 물려주는 대신 의미를 찾는 방법을 가르쳤다.

 



 



 



 

노자는 이렇게 말했다. "아, 지금 내게 찾아온 재앙이여!

 

그 속에 행운이 기다리고 있구나. 아, 나에게 찾아온 행복이여!

 

그 속에 재앙이 엎드려 있구나. 세상의 그 끝을 누가 알겠는가. 세상에 정답은 없도다".

 



 



 



 



 

버핏은 이같은 이치를 깨달았다. 그는 자기 자녀들이 입에 물고 태어난

 

 은수저가 자칫 삶을 찌르는 은장도가 될 수 있음을 보았다.

 

버핏을 賢人이라 부를 수 있는 것은 돈의 흐름을 읽는데

 

탁월한 투자가의 눈뿐만 아니라 이처럼 돈에 드리워진

 

그림자까지 보는 철학자의 눈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펌글>

 



 



 



 



 



 



 



 

종류가 다른 나무가 한 몸이 되어 자랐습니다.

 




이 포스트를...

처음페이지  이전페이지  271  272  273  274  275  다음페이지  마지막페이지